soft IT life

NCP 시험 준비 - Compute 본문

자격증

NCP 시험 준비 - Compute

softPattern 2023. 8. 1. 18:46

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

  • 비용을 유동적인 수요 상황에 따라 필요한 시점에 사용한 만큼의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.
  • 규모의 경제
  • 지속적인 기술 혁신 및 적용
  • 빠른 프로비저닝 및 유연한 확장
  • 인프라 유지 관리 부담 제거

NCP 서비스 제공 Region

  • 유럽- 독일
  • 아시아- 한국, 일본, 홍콩, 싱가폴
  • 미국-서부

NCP 인프라 상품군

  • Compute
    • Server, SSD Server, GPU Server, Virtual Dedicated Server, Bare-metal Server
    • Auto Scailing, Cloud Function, HPC, Container Registry, K8s Service
    • Global Region, Global Latency Status
  • Storage
    • Block Storage, Object Storage, NAS, BackUp, Archive Storage, Data Teleporter
  • Networking
    • Load Balancer, IPsec VPN, DNS & GDNS, NAT Gateway
    • VPC, CDN+, GCDN, Global Route Manager
  • Hybrid
    • Hybrid Cloud Hosting, VMware on NCP, Cloud Connect

NCP 플랫폼 상품군

  • DataBase
    • Cloud DB for MySQL, for MSSQL, for Redis
  • Game
    • Gamepot, Game Report, Game chat
  • Analytics
    • Cloud log Analytics, ELSA, RUA, Cloud Hadoop
    • Elasticsearch Service, Cloud Search
    • Data Analytics Service, Cloud Data Streaming Service
  • Media
    • VOD Station, Live Station, Video Player, Image Optimizer, VOD Transcoder

Server 타입

  • Classic 플랫폼
    • Micro, Compact, Standard, High Memory, CPU Intensive
    • G1, G2
  • VPC 플랫폼
    • Standard, High Memory, High CPU

 


NCP Compute 상품

  • Hypervisor: 하드웨어와 VM 사이에서 둘을 관리하기 위한 가상화 관리 소프트웨어
  • 전가상화: 하드웨어 전체를 가상화. 모든 리소스를 관리하는 만큼 성능적으로 오버헤드가 발생. VM은 일반적인 OS 사용 가능
  • 반가상화:전가상화의 성능 저하 해결. 하이퍼콜을 통해 요청(이를 사용하기 위해선 VM의 OS가 지원해야함)
  • 서버 특징
    • G1/G2:VPC환경에서는 G2만 제공중
    • CPU: vCPU 단위로 할당. Over Commit 허용. 스펙 변경 가능
    • Memory: GB 단위로 할당. Over Commit 허용안함. 스펙 변경 가능
    • HDD: OS영역이 기본 할당 되고(50 or 100gb) 용량 확장 및 축소는 불가
    • GPU: GPU 단위로 할당(GPU Core 단위 아님!). Pass Through 방식. 그래픽 카드별 서버 한대 당 매핑 가능한 개수 상이(V100-최대4개, T4,P40은 최대 2개)
    • Network:Physical 10Gbps, Logical 1Gbps
  • Classic G2 서버 및 VPC

  • Micro 서버
    • 1년간 무료 제공(Classic), 국내 리전만 제공. 추가 디스크 사용 불가
    • 서버사양: 1vCPU, 1G RAM, 50G HDD
    • 지원OS: Cent, Ubuntu (windows X)
  • Compact 서버
  • Standard 서버
    • CPU:Memory = 1:4, OS=50GB/100GB(windows)
  • HighMemory 서버
    • CPU:Memory = 1:8, OS=50GB/100GB
  • HighCPU 서버
    • CPU:Memory = 1:2
  • Bare Metal 서버
    • 하이퍼바이저 없이 하드웨어 자원을 그대로 사용
    • 서버사양: RAID 5, 1+0 지원
    • Classic 플랫폼: CentOS, Linux, Windows
    • VPC 플랫폼: CentOS, Linux, Windows, RHEL
  • GPU 서버: GRID 기술이 아닌 Pass Through를 적용하여 제공
    • T4: 최대 2장 GPU, 8vCPU 40GB Memory 당 16GB GPU 메모리 제공
    • P40: 최대 2장 GPU, 4vCPU 30GB Memory 당 24GB GPU 메모리 제공 
    • V100: 최대 4장 GPU, 8vCPU 90GB Memory 당 32GB GPU 메모리 제공
    • 제공OS: CentOs 7.3,7.8, Ubuntu 16.04, Windows 2016

Server Operation 1

  • 서버를 생성할 리전 선택
  • 서버를 생성할 VPC와 Subnet 선택
  • 부팅 디스크 이미지 선택
  • OS 선택
  • 서버 설정: 존, 스토리지, 서버 세대, 서버 타입, 요금제 

Server Operation 1 - 서버 스펙 변경, 이미지 생성, 유사 서버 생성

  • 서버 스펙 변경
    • 동일한 서버 타입에 한하여 CPU, Memory 변경 가능.
    • 반드시 정지된 상테에서 변경
    • 만약 다른 서버 타입으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-> 서버 이미지 생성 후 해당 이미지로 다른 타입 서버 이미지 생성
  • 서버 이미지 생성
    • 반드시 정지된 상태여야함(Classic) But, VPC플랫폼 - 서버가 운영중인 상태에서도 서버 이미지 생성이 가능하다.
    • 타 리전에 서버 생성시에는 먼저 대상 리전으로 복제
    • 템플릿을 이용한 서버 이미지 생성
      • 내부적으로 packer 사용. 구성정보를 스크립트로 관
  • 유사 서버 생성
    • 선택한 서버와 동일한 스펙의 서버 생성 시 사용
    • 서버 이미지, 스토리지, 서버 타입, 요금제, Zone, 인증키, ACG 정보를 동일하게 적용
  • 스토리지 생성
    • OS영역 50GB에 추가적으로 디스크 생성시 사용
    • 최소 10GB ~ 최대 2TB까지 디스크 생성 가능
    • 서버 한 대에 최대 15개의 추가 스토리지 부착 가능
    • 생성된 스토리지는 용량 증설 가능 -> 서버 정지 혹은 연경 해제 후 가능하다.
  • 서버의 이름 변경: Console에서 보여지는 서버 이름이 변경되는 것. 실제 서버 내부 호스트명이 변경되는 것은 X
  • 인증키 변경: 초기 패스워드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 분실시 패스워드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키 변경 필요.
  • 인증키 변경 시에는 이메일로 정보 전송

Server Operation 2 - 스토리지, 스냅샷, Public IP, init Script, ACG

  • Stroage Operation
    • 서버 생성시 OS영역에 50GB, 100GB로 서버 생성
    • 10GB ~ 2TB로 용량 증설 가능. 최대 15개까지.
    • 스토리지를 서버에서 detach하여 다른 서버에 연결도 가능하다.
  • 스냅샷
    • 스토리지 단위로 스냅샷 생성.
    • 서버 이미지와 다른점 : 서버 단위(서버이미지), 스토리지 단위(스냅샷)
    • 스냅샷으로는 서버 자체를 대신할 수 없고 추가 스토리지로만 변환이 가능하다.
  • Public IP
    • 외부에서 서버에 접속 하는방법 3가지
      • 공인 IP를 할당
      • 포트포워딩을 통한 접속(Classic)
      • VPN을 이용한 접속
    • 종속성
      • Classic -> 에 종속(KR1, KR2)
      • VPC -> 리전에 종속(한국, 독일...)
      • +공인 IP는 서버에 종속적이지 않으며 공인IP를 서버에 맵핑하는 구조이다.
  • Init Script
    • 서버 생성시 1회 실행(재부팅시에는 동작하지 않음)
    • Linux - Shell, Python, Perl
    • Windows - Visual Basic
  • ACG(Access Control Group)
    • 서버의 방화벽.
    • 프로토콜(TCP, UDP, ICMP), 접근소스(IP,ACG Group)
    • Classic / VPC
      • 최대 생성 개수: 계정당 100개 / VPC당 500개
      • 적용 대상: 서버 / 서버 NIC(network Interface card)
      • 적용 ACG 개수: 서버당 5개 / NIC당 3개
      • 맵핑정보변경 불가 / 가능
      • 의존성 없음 / VPC에 의존
      • Rule: In Bound / In, Out Bound
  • Private Subnet
    • 192.168~대역만 사용가능
    • 각 존당 하나의 Prviate Subnet 가능
    • ACG 적용 X
  • Network Interface Operation
    • VPC플랫폼
      • 서버 생성 시 최대 3개의 Network Interface 생성 가능
      • 각 NIC에는 Secnd IP 부여가 가능. 1개의 NI에는 최대 5개까지 Secnd IP 추가 가
  • Secure Zone
    • 격리되어 관리해야하는 중요한 데이터를 위한 서버를 위치시키기 위한 존 
    • 인터넷 통신 불가. NCP 내부 허용된 서버와의 통신만 가능
    • Inbound , Outbound 모두 제어

'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정보처리기사 2024 필기 대비  (0) 2024.05.20
NCA 자격증 시험 요약  (0) 2023.07.25
정보처리기사  (0) 2023.04.21